사회적 구성물로서의 수업 시스템과 교육과정
현대 사회에서는 다양한 교육 시설들이 등장하면서 기존 학교 교육과정과는 다른 형태의 운영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이는 교육 내용 뿐만 아니라 운영 방식에서도 다양성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평생교육 시설, 학력 인정 학교로 지정되지 않은 학교, 자율학교, 대안학교, 사이버 및 방송 학교, 특수 목적 고등학교, 학력 인정 평생교육 시설 등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교육과정의 다양성과 시대적 변화
이들 학교들은 교육 내용 뿐만 아니라 교육과정 운영 방식에서도 새로운 형태를 취하고 있어, 기존 교육 시스템에 대한 확장된 이해가 필요하게 되었습니다. 현재 우리가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학교 교육과정은 일정한 교과 내용이 정해져 있고, 모든 학생이 동등하게 학습하며, 교실 내에서 함께 이루어지며, 정해진 기간을 마치면 교육과정을 수료로 받아들이는 제도적인 규약 위에서 이뤄지고 있습니다.
교육과정의 변천과 맥락
그러나 현재의 교육과정과 운영 방식이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진 것은 언제나 그랬던 보편적인 제도가 아니었습니다. 현재의 교육과정은 근대 교육 체제에서 형성된 것으로, 시대적, 사회적 변화에 따라 운영 방식 또한 변화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매체의 발전과도 연관이 있습니다. 매체 학자 매클루언은 "미디어가 곧 메시지다"라는 명언으로 우리에게 매체와 그 내용뿐만 아니라 매체 자체에 대한 성찰을 권고하였습니다.
교육과정 운영의 시대적 맥락
오늘날 교육과정 운영 체제는 지식 생산의 시대적 여건과 긴밀하게 맞물려 있습니다. 학교 교육과정은 시대적, 사회적 산물이며, 이는 근대 교육 체제에서 형성된 운영 방식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교육과정은 제도적 범주의 개념으로, 커리큘럼이라는 용어는 학교 교육 내용의 체계를 가리키는 것뿐만 아니라 제도적인 범주의 개념으로 발전해 왔습니다.
교육과정 용어의 역사적 변천
교육과정이라는 용어는 중세 대학 시기에는 없었으며, 강의는 학생들이 자유롭게 오가며 이뤄졌고, 출석, 결석, 등록 개념도 없었습니다. 그러나 16세기 말쯤에 '교육과정'이라는 용어가 처음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이 용어의 사용은 유럽의 라이든 대학 문서에서 확인되었으며, 그때부터 교육과정은 일정한 과정을 수료하고 자격을 부여받는 의미를 가지게 되었습니다. 현재의 교육과정 시스템은 출석, 학점 이수, 학위 취득, 졸업 등으로 대표되며, 이는 현대 사회의 생산 여건과 노동관계를 반영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