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속의 숲속에 둘러쌓인 인천향교 탐방
인천향교를 찾는 과제를 부여받았을 때, 교육과 문화에 별 흥미가 없었던 나. 그러나 수학교육과에서 한 학기 동안의 경험을 통해 교육과 문화를 연결시킬 수 있는 교육기관을 찾게 되었다. 그 중에서도 중간고사 공부를 할 때 배웠던 향교가 떠올랐다. 향교는 성균관의 하급 관학으로 문묘·명륜당 등을 통해 중국·조선의 선철·선현을 제사하는 곳으로, 내 기억에 남는 교육 기관 중 하나였다.
인천향교의 역사와 특징
향교는 1894년 이후 과거제도가 폐지되면서 이름만 남아 문묘를 향사하게 되었고, 1900년에는 향교재산관리규정을 통해 재산을 부윤·군수 등이 관장하게 되었다. 나는 수많은 향교 중에서도 집과 가까운 문학향교를 선택했고, 그러나 몇 차례 봐왔던 향교에 처음으로 들어갈 기회가 찾아왔다.
향교 탐방의 시작과 선생님의 도움
향교에 도착했을 때 공사 중이라는 충격에 처했지만, 신관 건축 중이었고 향교는 정상적으로 운영되고 있었다. 뒤늦게 안내문을 자세히 읽어보니 인천도호부청사 내에 향교가 자리하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선생님의 도움으로 향교를 탐방할 수 있는 기회를 얻었고, 선생님과의 대화를 통해 향교의 역사와 의미를 배울 수 있었다.
향교 내부 탐방과 비석의 의미
향교 내부를 탐방하면서 흥전문, 하마비에 적힌 글자, 그리고 명륜당 등 다양한 건물을 살펴보았다. 특히 하마비에 적힌 내용은 교육의 중요성과 평등의 원칙을 강조하는 내용으로, 현대사회에서도 적용될 가치가 있는 것 같았다.
대성전과 석전의 의미
대성전은 문묘의 정전으로, 공부자의 위패를 모시는 곳이었다. 석전은 세계에서 유일하게 한국에만 남아 있는 원형으로, 중요한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이를 통해 향교에서의 제례와 중요성을 알게 되었고, 선생님의 설명을 듣고 성현들에게 제사를 지낼 때 느꼈던 도덕 교육의 부재를 실감했다.
향교 탐방을 통한 교육과 도덕 교육의 중요성
향교 탐방을 통해 처음으로 다가간 생소한 곳이었지만, 공부하기 좋은 환경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특히 성현들에게 제사를 지내는 모습을 보며 현대사회에서 부족한 도덕 교육의 중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이런 경험을 통해 교육과 문화가 어떻게 결합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고민을 하게 되었다.